연구분야

연구분야

연구분야

> R&D > 연구분야

• 항체를 활용한 면역관문(immune checkpoint) 억제는 암 치료 분야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불러왔으나 여전히 대부분의 암환자들이 치료에 반응하지 않아 치료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거나 치료 후 내성 또는 저항성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습니다.

• 대표적인 면역관문억제제(immune checkpoint inhibitor)인 항-PD-1 항체는 전체 암 환자의 약 20~30%에서만 치료 반응을 보이며, 초기에 치료 반응을 보이더라도 환자의 약 절반에서 약물 내성 및 저항성이 발생합니다.

대부분의 암 환자, 항-PD-1 치료에 불응

대부분의 암 환자, 항-PD-1 치료에 불응

전 암종 대상 객관적 반응률(ORR)

다중항체-사이토카인 융합체

다중항체-사이토카인 융합체

대부분의 암 환자, 항-PD1 치료에 불응

전 암종 대상 객관적 반응률(ORR)

다중항체-사이토카인 융합체

• 항체 기반 암 표적화 + 사이토카인에 의한 면역 활성화

• 현존 면역항암제 대체 신약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

• 기존 면역항암제 불응 암 환자까지 치료 대상 확대

• 항체 기반 암 표적화 + 사이토카인에 의한 면역 활성화

• 현존 면역항암제 대체 신약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

• 기존 면역항암제 불응 암 환자까지 치료 대상 확대

항-PD-1 면역관문억제제 저항성의 다양한 기전

암세포는 다양한 기전으로 ICI 불응 또는 저항성을 유발하는데, 크게 (1) PD-1 과발현 또는 타 면역관문의 활성으로 면억세포의 탈진 유도(immune-inflamed 종양인 경우), (2) TME 내 면역세포의 침투 및 기능 저하(immune-excluded 종양인 경우), 또는 (3) 항원을 발현하지 않거나 항원제시 기능의 결함으로 면역세포의 종양 인식 회피(immune-desert 종양인 경우)로 분류됩니다.

항체를 활용한 사이토카인의 표적화 전달로 안전성 및 효능 개선

• 사이토카인은 항암 면역세포의 활성화와 증식 기능으로 항암제로서 많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지만 전신 투여 시 무분별한 면역 활성화로 심각한 독성을 유발하며 혈중에서 빠르게 제거되어(체내 반감기 30분~2시간) 지속적인 약효 발휘에 어려움이 있습니다.

• 항체에 사이토카인을 융합할 경우 사이토카인을 종양 주변으로 정밀하게 전달할 수 있어 전신 투여 시 발생하는 독성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

• 또한, 항체에 융합한 사이토카인은 혈중 지속성도 크게 증가하여 보다 오랜 기간 동안 항암 작용이 가능해집니다.

우수한 발굴 기술력과 체계적인 평가를 통해 차별화된 사이토카인 확보

• 우수한 항체 발굴 플랫폼을 기반으로 약 1,000개에 달하는 사이토카인 유전자 변형 시퀀스를 확보하였으며, 이중 효능과 안전성 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탁월한 사이토카인 변이체를 다양한 이중항체에 융합하여 Multi-AbKine 파이프라인을 다수 개발하고 있습니다.

사이토카인 변형 유전자 확보:

~1,000개

핵심 아미노산 식별

Random mutation 적용

수용체 결합력 변화

in vitro 평가:

~50개

우수한 생산성 확보

수용체 결합력 조절

항체 융합 후 기능 평가

in vivo 평가:

~10-20개

항종양 효능 및 안전성 평가

경쟁물질과 비교

후보 물질:

~1-3개

최적화된 사이토카인 확보

항체-사이토카인 융합체 : 포스트 PD-1 항체 시대를 이끌 면역항암제

• 항체 기반 면역항암제의 등장 이후 효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어져 왔으며 항암제의 진화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.

•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의 효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다중항체-사이토카인 융합체(Multi-AbKine)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. 항-PD-1 기반의 이중항체에 사이토카인을 융합함으로써 PD-1 면역항암제의 효능 한계를 개선하고 치료에 불응하는 암까지 극복해 나가겠습니다.

• 항체 기반 면역항암제의 등장 이후 효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어져 왔으며 항암제의 진화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.

•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의 효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다중항체-사이토카인 융합체(Multi-AbKine)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. 항-PD-1 기반의 이중항체에 사이토카인을 융합함으로써 PD-1 면역항암제의 효능 한계를 개선하고 치료에 불응하는 암까지 극복해 나가겠습니다.